관절관리, 본질이 중요한 이유
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절관리, 본질이 중요한 이유

by mansur 2025. 7. 12.
반응형

본질이란 무엇일까요? 살다보면, 본질로 접근하지 않고 그저 작은 방법 하나에 연연해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고기를 잡아주는 것보다 물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을 예로 들어 볼까요?

 

본질을 중요시하면 해결되는 것들이 많죠. 작은 방법 하나에 그치면 그저 그것만 알거나 그것도 집중 안하면 무용지물이 되기 일쑤인데요.

 

관절 관리의 본질

관절은 결국 앞 무릎의 연골 닳음에 대한 통증입니다. 앞 무릎은 소모품과 같다고 하죠. 그래서, 한번 고장이 나면 완치가 안됩니다. 그래서, 아프기 시작하면 더 아프지 않게 관리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런데, 자칫 잘못 생각하다보면, 이거 운동으로 고칠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스쿼트 등 온갖 운동으로 앞무릎을 더 많이 사용할수 있어요. 그야말로 더 악화시키는 과정인 셈이죠.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해답은 남은 평생을 앞무릎을 더 이상 무리를 주지 말아야 하죠. 그럼, 생활을 어떻게 하나요? 앞무릎이 할일을 최대한 뒷무플이나 주변 근육 즉, 허벅지, 장단지, 심지어는 골반의 힘으로 버티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걸음 걸이

그래서, 걸을때도 뒷굼치에 힘을 주고 걸어야 해요. 뒷굼치에 힘이 자연스레 들어가는 길이 오르막길이잖아요. 그래서 계단 오르는게 무플에 좋다느니, 산에 올라갈때가 무릎에 좋다는 얘기들이 나오는 겁니다. 결국, 한 마디로 정리하면 앞무릎을 쓰지말고 뒷무릎이나 주변 근육을 쓰라는 얘기죠. 

 

혹자는 그럼 내리막길이 항상 있는데, 그것을 지나야 하는데, 어떻게 안 걸을수 있을까?라고 생각할텐데요. 본질을 알고 있으면 내려갈때도 무릎 앞쪽에 무리를 주지 않게끔 뒤에 무게 중심을 두는 식으로 걸으면 됩니다. 

 

스쿼트 방법

스쿼트 할때 앞 발끝보다 무릎이 더 나가지 않게 하라고 하죠. 무릎이 앞으로 나갈수록 앞무릎을 쓸수 밖에 없기 때문에 나온 말이죠. 

어떤 운동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동작도 마찬가지고요. 앞무릎이 아프다? 무리가 가는거 같다? 그런건 모두 무릎관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무릎관리,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어요. 뭐든지 가장 좋은 방법은 단순한데 있습니다.

 

앞무릎은 안타깝지만 재생이 안됩니다. 그래서, 전과 달리 어느정도 각도로 굽힐때 아프다는 생각이 들면, 그때부터는 어떤 운동도 어떤 일도 앞무릎을 쓰는 일을 멈춰야 합니다. 

 

남은 인생을 뒷무릎이나 주변 근육을 키워서 대신 하게 하면서 사는 거죠.

 

혹시, 이 글을 보시는 아직 젊은 나이대의 분이 계시다면, 절대적으로 그 무릎이 예전같지 않다고 앞무릎을 살려보겠다고 운동을 한다거나, 무리하게 힘을 가하는 일을 절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무릎이 아프기 시작하면, 그건 무릎 연골이 쓸만큼 썼다는 증거이며, 회복이 안됩니다. 무리를 안하고 앞무릎을 덜 쓰고 많이 쉬게 해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본질이고, 더 이상 앞무릎에 영향을 주는 수많은 운동에 혹해서 무릎능력을 더 악화시키지 않기를 바랍니다.

 

운동도 앞무릎에 무리가 되는 운동일까 한번 더 생각해보고 하는게 좋고요. 걸을때도 항상 뒷굼치에 힘을 주고 걸으세요.

이것만이 무릎을 보호하고 더 오래 유지해야 하는 것이 본질, 그 자체입니다.

 

 

반응형